티스토리 뷰
퇴직 시 받는 퇴직금에 대한 세금, 퇴직소득세 계산이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단계별로 차근차근 알아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직소득세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계산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퇴직소득세란?
퇴직소득세는 퇴직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퇴직 시 지급받는 금액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퇴직소득세는 퇴직금에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후, 남은 금액에 대해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이 세금은 퇴직금의 규모와 근속연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퇴직소득세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소득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퇴직급여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퇴직급여액에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후, 퇴직 소득금액을 산출합니다.
그다음, 퇴직소득공제를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퇴직급여액이 5천만 원이고, 비과세 소득이 1천만 원이라면, 퇴직 소득금액은 4천만 원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퇴직급여 : 5,000만 원
- 비과세 소득 : 1,000만 원
- 퇴직 소득금액 : 5,000만 원 - 1,000만 원 = 4,000만 원
- 공제 : 4,000만 원에 대한 적절한 공제액을 적용 (공제액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다름)
- 과세표준 : 4,000만 원 - 공제액
- 세금 : 과세표준 x 세율
이 금액에 대해 정률공제를 적용하면, 최종적으로 과세표준이 산출됩니다.
3. 임원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
임원의 경우,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이 일반 근로자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임원의 퇴직금은 보통 더 높은 금액이기 때문에, 세금 계산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원의 퇴직소득세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지만, 추가적인 공제 항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임원의 퇴직소득세 계산은 일반 직원과 기본적인 틀은 같지만,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
1) 퇴직급여 확인
: 먼저 퇴직 시 받은 총 퇴직 금액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2) 비과세 소득 제외
: 퇴직급여 중 세금을 내지 않는 비과세 소득(예: 장해보상금)을 빼줍니다.
3) 퇴직 소득금액 계산
: 1번에서 구한 퇴직급여에서 2번에서 뺀 금액이 퇴직 소득금액이 됩니다.
4) 공제 적용
: 임원의 경우, 일반 직원보다 더 복잡한 공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속연수, 퇴직 소득금액, 회사 규정 등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5) 과세표준 계산
: 3번에서 구한 퇴직소득 금액에서 4번에서 공제한 금액을 빼면 과세표준이 됩니다.
6) 세율 적용
: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하여 세금을 계산합니다.
임원 퇴직금 계산 방법 예시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라는 회사의 임원이 20년 동안 근무하고 퇴직했다고 가정해 봅니다. 퇴직금으로 5억 원을 받았고, 비과세 소득은 없다고 가정합니다.
1) 퇴직 소득금액 : 5억 원
2) 근속연수 공제
: 회사 규정에 따라 20년 근무에 대한 공제액이 1억 원이라고 가정하면, 퇴직 소득금액에서 1억 원을 공제합니다.
3) 과세표준: 5억 원 - 1억 원 = 4억 원
4) 세율 적용
: 과세표준 4억 원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하여 세금을 계산합니다.
(세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세율은 세무 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임원 퇴직금의 경우, 근속연수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4. 퇴직소득세의 과세표준 계산
퇴직소득세의 과세표준은 퇴직소득 금액에서 퇴직소득공제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퇴직소득공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5년 이하, 6년 ~ 10년, 11년 ~ 20년, 20년 초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년 근속한 경우, 기본 공제액에 추가 공제를 더 하여 최종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5. 퇴직소득세의 누진 공제는 얼마?
퇴직소득세의 누진 공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1) 5년 이하의 경우 100만 원
2) 6~10년은 500만 원에 200만 원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6년 이상 10년 이하의 경우 500만 원의 기본 공제액에 200만 원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3) 20년 초과의 경우, 더 높은 공제액이 적용되므로, 근속연수에 따라 누진 공제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 왜 누진 공제를 적용할까요?
오랜 기간 회사에 헌신한 직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기 위해 누진공제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즉, 근무 기간이 길수록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죠.
6. 최신 세법을 반영한 꿀팁
1) 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지므로, 퇴직 시기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면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퇴직연금으로 수령 시 세금 이연 효과를 누릴 수 있으므로, 일시금 수령과 비교 검토가 필요합니다.
3) 2020년 이후 퇴직하는 경우 개정된 계산 방식이 전면 적용되므로, 이를 고려한 퇴직 계획 수립이 중요합니다.